본문 바로가기

겸재 정선과 한강 그리고 1천원 지폐 겸재 정선(謙齋) 鄭歚1676년~1759년)은 조선 후기의 화가·문신이다. 20세에 김창집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이 됐다. 30세를 전후해 한국 산수화의 창조적 독창성이 돋보이는 진경산수화의 종화가 됐다. 금강산 등 전국을 여행하며 조선을 풍광을 화첩에 담는 작업을 꾸준히 했다. 겸재 정선은 60대 후반에 양천현령을 지냈다. 이때가 진경산수화가 완숙한 경지에 오른 무렵이다. 그는 양천현령으로 있으면서 서울과 한강을 주제로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이때 ‘경교명승첩’, ‘양천팔경첩’ 등을 남긴다. “험준하고 힘찬 산악미에다가 부드럽고 서정적인 아름다움까지 겸비했다." 겸재는 당시 강변의 풍경을 담아내면서 이같은 평을 받는다. 우리나라 지폐 천 원권 뒷면에 겸재의 그림이 있다. 산과 나무 그리고 한 채의 집이.. 더보기
양천팔경(陽川八景) '양천사람은 바람 마시고 죽을 마신다’, ‘양천 원님 부임할 때 울고 나갈 때 운다.’ 양천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한강 강변 마을이라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면적은 얼마되지 않고 넓은 침수지대의 목초가 무성한 벌판이 있는 곳이 있다. 강변의 벌판은 바람이 세고 농사를 지어도 침수로 인하여 흉년이 들 때가 많아 이런 속담이 나왔다고 한다. 양천은 아름다운 경치에 도성과 가깝기 때문에 명사들과 교류하기가 쉬운 곳이기도 했다. 궁산은 양천향교 뒤에 위치한 얕은(해발 74.3M) 산이다. 파산 성산 관산, 진산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조선시대까지 양천(현)은 지금의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를 모두 관할하는 곳이었다. 현재 양천(현) 관아터 양천향교 그리고 양천(현)의 진산이었던 궁산과 궁산 정상에 축.. 더보기
양천과 한강 행호 그리고 웅어 서울의 강 경강은 마포 망원동-난지도를 지나면서 행호(杏湖)로 그 이름이 바뀌어 불린다. 한강물은 용산에서 서북쪽으로 꺾여 양천 앞에 이르면 맞은편의 수색, 화전 등 저지대를 만나 강폭이 갑자기 넓어진다. 안양천과 불광천이 강 양쪽에서 물머리를 들이미는 곳부터 서호 또는 동정호 등으로 불렀다. 창릉천(昌陵川)이 덕양산(德陽山) 산자락을 휘감아 돌며 한강으로 합류하는 행주(杏州) 앞에 이르러서는 그 폭이 더욱 넓어진다. 이 곳을 행호라고 한다. 지금의 행주산성 앞을 가리킨다.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 있는 궁산은 절경으로 꼽힌다. 옛 양천고을의 진산으로 이곳에서 바라보는 한강변 풍광은 시정을 불러일으키는 명승이었다. 아울러 이곳 현감으로 왔던 겸재 정선은 그 풍광을 진경산수로 읊고 사천 이병연은 진경시를 지어.. 더보기